잡다한 이야기/일상 생활 이야기

중국, 모든 것에 QR코드를 입히다

YK Ahn 2019. 2. 10. 15:28
반응형

 중국에 살면서 혹은 여행하다보면 중국의  QR코드 결제 시스템의 확장과 진보를 볼 때마다 깜짝깜짝 놀랄 때가 많다.


 이미 굉장히 많은 분야에 공유 상품들이 들어선 것들은 차치하고 - 일반 자전거, 전기 자동차, 전기 자전거, 우산, 충전기 등등 - 모든 것에 인터넷을 연결하여 핸드폰만 있다면 카드나 현금이 전혀 필요없는 사회가 만들어져 가고 있다. 이러한 것들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들의 기반은 삼성페이나 애플페이가 추구하는 NFC타입의 결제 시스템이 아닌 알라바마와 텐센트가 추구하는 QR코드 결제 시스템인 것 같다.  

 제작년 상하이에 갔을 때 보았던 오렌지 자판기와 같이 지하철에 있는 대부분의 자판기에 QR코드로 결제를 할 수 있는 것은 물론, 광저우 지하철에서는 지하철표도 구매도 위챗이나 알리페이에서 QR코드로 결제가 가능하다. 사실 중국내 모든 결제는 사실상 현금이나 카드가 필요없이 위챗페이나 알리페이로 결제가 가능하게 된 것은 최근 몇년 사이에 일어난 일이긴 하지만, 이런 공공장소에 있는 자판기등에도 인터넷을 연결하여 결제가 가능하게 만들어 진 것은 정말 최근의 일인 것 같다. (무인 편의점도 이 QR코드 결제 시스템에 100% 의존하고 있다)


 이번에 항저우에 여행 갔을 때 다시 놀라게 되었는데, 이제는 지하철표를 구매할 필요조차 없어졌기 때문이었다. 알리페이에서 자신의 특정 QR코드를 디스플레이해서 개찰구의 리더기에 읽히면 그걸로 결제가 끝나는 것이다. 나중에 나올 때도 다시 읽히면 이동 거리에 따라 금액이 결제된다. (또한 외국인은 중국 내 신분증이 없기 안되긴 하지만, 중국인들은 신분증내에 IC칩이 있어 국내선 비행기나 기차를 탈 때 굳이 표를 구매하지 않고 신분증으로 대체할 수 있기도 하다)


 또한 이번 황산과 황링을 여행갔을 때도, 입장권을 Ticket office가 아닌 자판기에서 바로 결제해서 구매할 수 있었고, 표를 굳이 프린트하지 않고 핸드폰에 QR코드로 저장하여 사용하여도 되었다. 


 최근 중국에서 짐을 보관하는 사물함, 택배를 보관하는 수취함, 심지어는 재활용할 수 있는 제품을 분리하여 넣으면 종류와 무게에 따라서 돈을 돌려주는 재활용품 수거함까지 모두 인터넷에 연결되어 코인이나 현금이 전혀 필요없이 QR코드로 결제, 사물함 위치 및 비번, 환불까지 모두 스마트폰만 있으면 가능하게 되었다.


 이런 QR코드 시스템은 결제를 매우 간편하게 만들어 줌에 따라 시장경제의 활성화라는 매우 큰 장점이 있는 것 같다. 어디를 가든 스마트폰만 있다면 무엇이든 결제가 되니 - 당연히 모든 노점상들은 QR코드 결제를 받고 대부분의 결제는 이것으로 이루어 지는 것 같다. - 소비가 굉장히 쉬워져 활성화가 되는 것은 당연한데, 문제는 개인간의 거래로 인해 경제활동은 매우 활발해지나 정부에게는 세금확보가 안된다는 단점이 생긴다. 어디까지 개인간의 단순 송금이고 어디까지 거래인지 확인이 힘들고, 서비스제인지 공산품 판매인지, 어디까지가 팁이고 어디까지가 상품 가격인지 파악이 전혀 안되다 보니 세금을 걷는 것 자체가 힘든 것이다. 

 그러다보니 올해부터 중국 정부에서 위챗과 알리페이에 의한 거래와 송금에 대한 대대적인 법개정과 시행에 들어가기 시작했다. 시장경제 활성화에 성공했으니 세수확보에 나서기 시작한 것은 당연한 절차일 것이다. 






 부언하자면, QR코드 결제로 인해 지갑을 여는 것이 매우 편리해진 중국 소비경제가 얼마나 활성화 되었냐면, 중국의 1인당 GDP는 한국의 절반에 그치지만 체감소비자체는 한국인과 다를바 없거나 오히려 더 뛰어넘는 것 같다. 부동산의 계속되는 상승으로 인한 것이든, 중국어 자체에 미래와 과거형에 대한 문법적 차이가 없어 나타나는 미래와 현재, 과거의 비-분절성에서 오는 저축에 대한 필요성이 개념적으로 희미한 것이든 간에, 적금과 예금의 이자가 한국보다 2~3배 높음에도 불구하고 은행에 돈을 저축하는 것은 바보들이나 하는 것이라고 하는 중국인들의 생각이, 수입에서 미래를 위한 기회비용 혹은 투자인 저축과 연금으로 빠져나가야할 부분을 모두 소비로 돌려놓았기에 때문에 더 적은 수입으로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소비가 가능하게 만들고 있는 것 같이 아닌가 생각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