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이야기/다른 맛 72

중국 음식 - 샹춘야차오어단(香椿芽炒鹅蛋, 향춘아초아단)

중국 음식 중 샹춘야차오어단(香椿芽炒鹅蛋, 향춘아초아단)이라는 음식이 있다. 샹춘야(香椿芽, 향춘아)은 참죽나무의 새싹을 의미하는데, 이를 따서 끓는 물에 살짝 데친 후 잘게 썰어서 거위 알(鹅蛋)과 잘 섞은 후 후라이팬에 스크램블 에그처럼 볶는(炒)것이 이 음식이다. 이 참죽나무의 봄에 나는 새싹은 향이 좋고 부드러워서 예전부터 중국에서 사람들이 즐겨 먹었다고 한다. 특히 봄이 지나서 나는 싹들은 잎이 즐기고 향이 떨어져 맛이 없기에 대표적인 봄 나물인 것이다. 또한 거위알은 달걀이나 오리알처럼 흔하지 않던 것이었던데다가 거위는 겨울에는 알을 나지 않고 날씨가 따뜻해지는 봄이 되어야 알을 낳기 때문에, 밤에 나은 거위알과 참죽나무 새싹은 중국에서 그야말로 '봄 음식'이라고 하며, 혹은 봄을 먹는(吃春)..

중국 요리 - 홍샤오로우(红烧肉, 홍소육)

중국의 어디를 가든 볼 수 있는 음식 중, 홍샤오로우(红烧肉, 홍소육)는 한국의 돼지갈비 요리같다. 소동파 시인이 항저우에서 일꾼들에게 요리를 해주어 유명해 진 동파육(东坡肉, 동포로우)도 이 홍샤오로우의 한가지 요리법으로 들어간다고 한다. 보통은 삼겹살을 쓰지만 살코기를 사용하면 매우 부드러운 식감의 요리가 된다.. 동파육은 그 양념이 굉장히 진하고 짜지만, 양념을 약하게 하는 조리법을 사용하면 한국인에게도 밥도둑 음식이 된다.

중국 쓰촨(四川, 사천) 음식 - 펀정파이구(粉蒸排骨, 분증배골)

중국 쓰촨(四川, 사천) 음식 중 펀정파이구(粉蒸排骨, 분증배골)라는 음식이 있다. 이름의 뜻은 가루를 찐 갈비인데, 돼지갈비에 쌀가루를 묻혀서 찐 음식이다. 우리의 돼지갈비찜과 비슷하면서도 다르다. 후난(湖南, 호남) 음식점에서 주문한 것이라 후난 음식인줄 알았는데 찾아보니 쓰촨음식이라고 한다. 맛은 돼지갈비찜 맛이고 쌀가구가 입혀져 있어서 식감이 특이하다. 꽤 괜찮은 맛이지만, 개인적으로는 한국의 돼지갈비찜이 훨씬 맛있는 듯 하다.

중국 쓰촨(四川, 사천) 음식 - 라즈지(辣子鸡, 랄자계)

한국의 중국음식점에서는 라조기(辣椒鸡, 랄초계)라고도 알려진 중국 쓰촨(四川, 사천)인 라즈지(辣子鸡, 랄자계) 음식이 있다. 몇일 전 지금은 협력업체인 전회사에 가서 예전 동료와 회사 앞에 있는 로컬음식점에서 시켜먹어 보았다. 회사 내 중국인들에게는 꽤 입소문이 난 식당이라고 해서 가보았던 것인데, 생각보다 훨신 맛있었다. 한가지 특이한 것은 한국에서 라조기를 먹으면 딱딱한 닭뼈가 많이 씹혀서 먹기가 불편했는데, 이 라즈지는 어린 닭으로 해서 그런지 아니면 튀기는 방식이 달라서 그런 것인지 거의 대부분의 뼈가 물렁뼈처럼 씹어먹을 수 있을 정도로 부드러웠다.  중국에서 매운 음식의 고장 중 하나인 쓰촨 음식이라 고추가 많이 들어가는데, 먹을 때는 맵다고 느끼지 못했지만 나중에 저녁이 되어 매움을 느끼게 ..

중국 음식 - 량반저얼건(凉拌折耳根, 양반절이근)

중국의 쓰촨(四川, 사천), 총칭(重庆, 중경), 윈남(云南, 운남), 구이저우(贵州, 귀주) 등 중국 서남부 지역 사람들이 즐겨먹는 지방특산음식 중 량반저얼근(凉拌折耳根, 양반절이근)이라는 음식이 있다. 량반(凉拌)은 한국어로 '무침'과 같은 말이고 저얼근(折耳根, 절이근)은 한국에서는 어성초(魚腥草)라고 불리는 식물인데, 한국이나 중국에서 한약재로 사용될 정도로 항균작용과 영양가가 풍부하다고 한다. 어성초(魚腥草)라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식물이지만 특유의 생선 비린내가 강하게 난다. 량반저얼건은 이 어성초를 씻어서 고추가루와 간장, 식초 마늘, 설탕 등을 버무려서 무쳐먹는 나물무침 음식인 것이다.

중국 쓰촨(四川, 사천) 요리 - 위샹로우쓰(鱼香肉丝, 어향육사)

중국 사천(四川, 쓰촨) 10대 고전 요리 중 하나로 뽑히는위샹로우쓰(鱼香肉丝, 어향육사)라는 음식이 있다. 음식이름으로 본다면 '생선맛이 나는 잘게 썬 고기'라는 뜻인데, 이름 그대로 생선은 들어가지 않지만 생선 맛이 나는 돼지고기 볶음이다. 3면이 바다로 둘러 쌓여 있는 반도국가인 우리나라에서는 생선이 흔하기 때문에 생선 맛이 나는 돼지고기 음식을 왜 만들지라는 생각을 하지만, 중국 내륙에서도 분지 지형에 위치한 쓰촨에서는 생선을 먹는 것이 흔하지 않기 때문에 굳이 생선맛이 나는 돼지고기 음식을 만든게 아닐까 싶다. 실제로 조리법에도 생선은 전혀 들어가지를 않는데, 기본적으로 잘게 썬 돼지 고기 안심에 절인 고추, 절인 생강, 마늘, 양파, 생강, 식초를 넣고 볶는 것이다. 사천의 10대 요리 중 하..

중국음식 - 라쟈오차오로우반미엔(辣椒炒肉拌面, 랄초초육반면)

흔히 이탈리아 사람들이 스파게티 요리와 면에 진심인 것처럼 중국 사람들도 면음식을 정말 좋아한다. 그래서 다양한 면음식과 함께 같은 음식이라도 각기 다양한 다른 면을 고를 수 있다. 최근에 라쟈오차오로우반미엔(辣椒炒肉拌面, 랄초초육반면)라는 새로운 중국 면요리를 먹어보았다. 라쟈오차오로우반미엔라는 음식 이름은 쉽게 말하면 고추돼지고기볶음 비빔면이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기름에 고추와 돼지고기를 볶은 후, 삶은 면에 비벼서 먹는 것이니 거의 동일한 조리법인 샤오차오로우(小炒肉, 소초육)와 매우 비슷한 맛이다. 샤오차오루오가 완전 밥도둑이다보니 이 라쟈오차오로우반미엔도 한국인이 좋아할 음식이다. 중국 후난(湖南, 호남) 요리 - 샤오차오로우(小炒肉, 소초육) 중국의 후난(湖南, 호남) 음식 중 하나인 ..

중국 요리 - 황먼황구위(黄焖黄骨鱼, 황민황골어)

반도지역인 한국 음식에는 해산물 음식이 많은 반면 중국에는 해산물 음식의 종류가 적고 한국의 해산물 음식보다 덜 발달되어 있는 듯 하다. 많지 않은 중국 해산물 음식 중 황먼황구위(黄焖黄骨鱼, 황민황골어)라는 음식이 있다. 황먼(黄焖, 황민)은 조림식 요리를 말하는 것이며 황구위(黄骨鱼, 황골어)는 흔히 '빠가사리'라고 말하는 동자개라는 민물고기이다. 조리법이 간단하기 때문에 우리가 갔던 식당에서는, 테이블에서 바로 요리를 해서 먹는 것이었다. 기름에 생강, 마늘과 고추를 넣고 볶은 후, 그 위에 닭고기 육수를 붓고 다시 끓인다. 이미 뼈와 아가미가 손질된 황구위를 냄비에 넣고 약간의 양념을 다시 추가하면 끝. 뼈가 이미 손질되어 있기는 하지만, 작은 가시들이 남아 있을 수 있다. 맛은 중국의 생선 음식..

중국 후베이(湖北, 호북) 음식 - 징저우 궈쿠이(荆州锅盔, 형주 과회)

집 주변에 올해 언젠가부터 노점상들이 조금씩 생기더니 지금은 조그만 야시장이라고 부를수 있을 정도로, 저녁만 되면 꽤 많은 노점상들이 매일 들어서고 있다. 몇일전에 지나가다가 처음보는 노점상에서 맛있어 보이는 간식을 팔길래 먹어보았다. 음식은 징저우 궈쿠이(荆州锅盔, 형주 과회)로 우리에게는 삼국지 소설의 주요 무대 중 하나로 잘 알려진 형주지방, 중국어로는 징저우 지방의 궈쿠이라는 음식이다. 훠궈(火锅)의 궈(锅)와 헬멧을 뜻하는 쿠이(盔)를 합쳐서 만든 궈쿠이는, 전장에 적절한 조리기구가 없어 헬멧에 밀가루 반죽을 붙여서 구워먹었다는 것에서 유래되었다는 설과 잔뜩 태워먹은 이 전병요리가 너무 단단해서 전장에서 적군의 총알을 막아내어서 그 이름이 유래되었다는 설 등이 있다고 한다. 밀가루 반죽을 한 후..

중국 후난(湖南, 호남) 음식 - 농자이완샹(农家一碗香, 농가일완향)

중국에서 후난(湖南, 호남) 음식점에 가면 매우 쉽게 찾을 수 있는 음식 중 농자이완샹(农家一碗香, 농가일완향)라는 요리가 있다. 농가(农家)에서 풍기는 그릇 한사발의 향기(一碗香)라는 매우 시적인 이름을 가진 이 음식은 쓰촨(四川, 사천)음식과 함께 매운 음식으로 유명한 후난 음식 중 하나이다. 농자라는 이름이 붙은 음식들은 주위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재료들로 만든 매우 서민적인 음식인데, 이 농자이완샹도 동네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흔한 재료들로 만든 음식이다. 삽겸살과 고추, 마늘, 계란 등으로 기름에 볶는 음식으로 딱 후난의 서민음식 스타일이다. 보기에는 약간 돼지고기 볶음과 비슷하나 싶지만, 그렇게 딱히 비슷한 맛은 아닐 뿐더러 비슷한 한국음식이 떠오르지도 않지만, 그렇다고 그렇게 낯선 맛도 ..

중국 광동(广东) 차오산(潮汕, 조산) 음식 - 차오산쇼우공뉴로우위엔(潮汕手工牛肉圆, 조산수공우육원)

중국 광동(广东)의 차오저우(潮州, 조주), 산토우(汕头, 산두), 지에양(揭阳, 계양)을 합쳐서 부르는 차오산(潮汕, 조산)은 신선한 소고기의 훠궈(火锅, 화과) 음식이 유명한 곳이다. 그 중 100년이 넘는 전통을 자랑하는 차오산쇼우공뉴로우위엔(潮汕手工牛肉圆, 조산수공우육원)라는 이름의 음식은 쉽게 말하면 소고기 완자이다. 하지만 차오산 지역의 소고기 완자는 구워서 먹는게 아니라 훠궈처럼 삶아서 먹는데, 부드럽우면서 탄탄하고 쫀득한 맛이 그 특징이며, 순수 한족인 커지아(客家, 객가) 즉 하카(Hakka)족의 다진 소고기 음식이 차오산 지역에서 변형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중국 쓰촨(四川, 사천) 음식 - 홍요우펑좌(红油凤爪, 홍유봉조)

개인적으로 닭발을 좋아하진 않지만, 닭발은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나라에서 음식 재료로 사용되어 왔다. 중국에서도 닭발 요리가 몇가지 있는데, 그 중 쓰촨(四川, 사천) 요리인 홍요우펑좌(红油凤爪, 홍유봉조)가 있다. 닭발을 손질 후 삶은 다음에 고추기름 (홍요우, 红油)과 파, 깨, 마늘등을 섞어서 먹는 음식이다. 중국에서는 음식에 들어가는 닭을 때때로 펑황(凤凰, 봉황)으로 부를때가 있는데, 이 음식의 이름도 마찬가지이다. 홍요우펑좌(红油凤爪, 홍유봉조)를 직역하자면, 고추기름닭발. 매콤한 닭발을 좋아한다면 한번 드셔보시길.

중국 광동(广东) 음식 - 차오산뉴로훠궈(潮汕牛肉火锅, 조산우육화과)

중국 광동(广东) 음식 중 차오산뉴로훠궈(潮汕牛肉火锅, 조산우육화과)라는 훠궈 음식이 있다. 쓰촨(四川, 사천)이나 총칭(重庆, 중경)의 매운 훠궈와는 달린 전혀 맵지 않은 훠궈이다. 사골 국물에 흰 무등을 넣어서 끓이는 물에 소고기를 살짝 데쳐서 먹는 훠궈이다. 물론 다른 야채나 고기들도 데쳐서 먹을 수 있는데,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음식의 메인은 소고기이다. 이 차오산뉴로훠궈는 신선함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서, 원래는 소를 도살 후 그자리에서 바로 이 훠궈를 먹는 것이었다고 한다. 차오산뉴로훠궈가 가진 구수함과 깔끔한 맛은 매운 훠궈에서는 찾을 수 없는 맛이다.

중국 광동(广东) 음식 - 커지아옌미엔(客家腌面, 객가엄면)

최근에 집에서 멀지 않은 곳에 새로운 국수집을 발견해서 가끔 가서 먹는데, 커지아옌미엔(客家腌面, 객가엄면) 혹은 그냥 옌미엔( 腌面, 엄면) 이라고 불리는 광동지역 국수가 있길래 먹어보았다. 삶은 면을 건진 후, 다진 돼지고기와 양파, 액젓등을 넣어서 만든 소스를 면 위에 뿌려서 먹는 간단한 면 음식이다. 짭짜름한 맛이 특징인 이 음식은 광동지역에서도 메이저우(梅州, 매주)의 특산음식이기도 하다. 이 커지아옌미엔이 메이저우의 특산 음식인 이유는,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이 음식이 커지아(客家, 객가) 즉 하카(Hakka)족들의 음식이기 때문이다. 하카족은 원래 북방에 살던 한족이었다. 중국의 역사에서 나타나는 많은 외세 침략에 의해 대부분의 한족들의 피가 혼혈화되었지만, 이 하카족은 이런 외세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