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이야기/다른 맛 72

중국 광동(广东) 음식 - 창펀(肠粉, 장분)

창펀(肠粉, 장분)은 홍콩을 포함한 중국의 남부 지방인 광동(广东)의 전형적인 아침식사나 간식이다. 쌀을 물에 불려서 갈린 후 밀가루와 우유를 섞어서 만든 물같은 반죽을 식용유를 칠한 철판에 얇게 두른 후 뒤집어 가며 익히면 된다. 넓게 익혀진 이 반죽을 접은 후 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소스를 부어서 먹는 음식인데, 부드럽고 쫀득그리며 짭짤하여 광동지방에서 사랑받는 스낵이다. 생긴 것이 마치 창자같다 하여 창펀이라고 불린다. 얇게 만들어진 창펀 안에, 지방이나 음식점에 따라서 갖가지 재료들을 추가로 넣기도 하는데, 돼지고기, 소고기, 계란, 새우 등등이 대표적이다.

중국 음식 - 총차오화투지탕(虫草花土鸡汤, 충초화토계탕)

한국에 비해서 국물음식이 별로 없는 중국음식 중, 한국의 삼계탕과 같은 중국 음식이 있다. 총차오화투지탕(虫草花土鸡汤, 충초화토계탕)이라는 음식인데, 총차오화(虫草花)는 일종의 동충하초(冬蟲夏草)이지만 한약재등으로 쓰이는 그것과는 다르다고 한다. 총차오화도 나비의 애벌레 몸속에 있다가 나중에 버섯이 되는 것으로 비슷하지만, 곤충외에도 곡물에 재배가 가능하여 중국에서는 음식의 재료로 사용된다. 투지(土鸡, 토계)는 한국말로 하면 토종닭이다. 굳이 한국말로 번역하자면 동충하초 토종닭탕인 것이다. 닭고기, 생강, 총차오화, 대추 및 기호에 맞게 다른 재료들을 넣어서 끓인 닭고기 음식이며 중국 전역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굉장히 일반적인 음식이다. 국물을 마시는 음식이 별로 없는 중국이기에 보통 국물을 마시는 ..

중국 음식 - 옌워(燕窝, 연와)

중국의 남부 해안지방과 동남아시아에서 먹는 특이한 요리가 있다. 요리라고 명명하기에는 너무 거창하고 약간 차나 스프같은 옌워(燕窝, 연와)라는 음식이다. 옌워는 직역하면 제비둥지이다. 실제로도 바다제비가 만든 둥지를 씻고 말려서 만든 것이다. 바다제비가 제비의 침과 제비털, 풀잎, 식물줄기 등으로 둥지를 만드는데, 이를 옛날 섬에 난파한 선원들이 배고파서 먹은 것에서부터 유래되었다고 한다. 제비둥지에서 다른 것들은 모두 씻어서 버리고 그 중 제비털을 잘 씻은 후 말려서 파는게 옌워이다. 이를 차나 스프처럼 먹는 것인데, 이 음식에는 필수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어 중국 남부 해안지방이나 동남아시아 국가들에서 건강식으로 먹는다고 한다. 중국 청나라의 전성기를 이끌었던 건륭제가 이를 매일 먹어서 88세까지 살았..

대만(台湾, 타이완) 음식 - 타이완 샤오훠궈(台湾小火锅)

대만 여행시 먹었던 대만식 훠궈. 타이완 샤오훠궈(台湾小火锅)라고 부르는 것 같다. 중국식 훠구처럼 큰 냄비에 끓이는 것이 아니라 개인당 한개씩 작은 훠궈 냄비가 나오는데, 이미 다양한 야채와 재료들이 들어가 있다. 물론 어떤 것을 넣을지는 주문할 때 고르면 된다. 대만 음식 중 기억에 남는 몇 안되는 음식 중 하나.

중국 총칭(重庆, 중경) 음식 - 비산투(璧山兔, 벽산토)

중국 총칭(重庆, 중경) 음식 중 비산투(璧山兔, 벽산토)라는 것을 먹어 보았다. 총칭 중심지역에서 약간 서쪽에 대학들이 몰려 있는 곳인 따슈에청(大学城, 대학성)에서 서쪽으로 1~2km정도만 가면 비산(璧山)이라는 지역이 나온다. 이곳에서 발달한 지역 음식인 비산투(璧山兔, 벽산토)는 말 그대로 비산지역의 토끼 음식이다. 280년 이상의 전통을 가진 음식이라고 하며, 총칭/쓰촨 요리답게 매콤하며 부드러운 토끼 고기의 맛을 잘 느낄 수 있는 음식인 듯 하다. 하지만 자잘한 뼈가 많아서 우걱우걱 먹기에는 쉽지 않고 뼈에 치아가 손상되지 않도록 조심히 씹어먹어야 한다.

중국 구이저우(贵州, 귀주) 음식 - 류판슈이(六盘水, 육반수)의 슈이청라오궈(水城烙锅, 수성낙과)

중국에서 가장 시원한 도시이기에 종궈량두(中国凉都, 중국량도)라고 불리는 류판슈이(六盘水, 육반수)에는 다오류판슈이부츠라오궈스이쫑이한(到六盘水不吃烙锅是一种遗憾)이라는 말이 있다. 즉, '류판슈이에 와서 라오궈를 먹지 않으면 후회한다'라는 말인데, 라오궈는 류판슈이의 유명한 음식인 슈이청라오궈(水城烙锅, 수성낙과)를 일컫는다. 슈이청라오궈는 300년 전 이곳의 이민족을 진압하기 위해 파견된 청나라 군대들이 먹을 것이 없어서 야생에서 뜯은 풀과 야생동물등을 잡아 기와나 자기위에 올려놓고 구워먹던 것이 시초라고 한다.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기와나 자기등이 프라이팬으로 변경되고 각종 야채, 채소, 고기등이 사용되면서 중국에서 유명해지면서 서부지역의 유명한 간식(西部名小吃)이라고 불리며 지역의 특산물이 되었다. ..

중국 총칭(重庆, 중경) 음식 - 총칭샤오지공(重庆烧鸡公, 소계공)

중국 총칭(重庆, 중경) 음식 중 하나인 총칭샤오지공(重庆烧鸡公, 소계공)은 신장다판지(新疆大盘鸡, 신강대반계)보다 더 한국의 닭도리탕 같은 음식이다. 예전에 후난성에도 같은 요리가 있지만, 거의 대부분의 음식이 붉은색인 한국음식과 비슷하게 붉은 색의 음식이 다수인 총칭의 음식 중 총칭샤오지공은 맛도 비주얼도 모두 닭도리탕과 매우 닮았다.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한국의 닭도리탕은 국물에 밥을 비벼먹기 좋지만, 총칭샤오지공은 국물에 기름이 많아 밥을 비벼먹기가 쉽지는 않다. 중국 여행 중 한국 닭도리탕이 먹고 싶다면, 총칭샤오지공 혹은 쓰촨샤오지공(四川烧鸡公, 사천소계공)을 주문해 보시라. 중국 신장 (新疆, 신강) 요리 - 신장다판지(新疆大盘鸡, 신강대반계) 한국에 찜닭 혹은 닭도리탕과 비슷한 음식이 중국에..

중국 후난(湖南, 호남) 요리 - 뉴로미엔(牛肉面, 우육면)

중국 어디를 가도 찾을 수 있는 대표적인 서민 음식인 뉴로미엔(牛肉面, 우육면)은 중국 각 지역마다 제각각의 특색과 맛이 있다. 후난(湖南, 호남)의 뉴로미엔은 다른 뉴로미엔들과 달리 국물이 굉장히 맛있다. 면 요리가 워낙 발달한 중국이라 면은 어딜가나 맛있지만, 후난의 이 뉴로미엔은 국물까지 맛있다. 매운 맛을 좋아하는 후난이라서, 오리지날 맛과 매운 맛을 고를 수 있다.

중국 티벳 음식 - 진쓰뉴로우빙(金丝牛肉饼, 금사우육병)

노점상에서 진쓰뉴로우빙(金丝牛肉饼, 금사우육병)을 파는데, 맛있어 보여서 사먹어 보았다. 진쓰뉴로우빙은 티벳의 전통음식으로 겉은 얇게 썰어서 바삭하게 튀긴 감자이고 속은 야채와 함께 티벳의 전통 사육소인 야크 소고기가 가득한 소고기 패티가 들어 있다. 바삭한 감자와 기름지고 따뜻한 소고기가 매우 잘 어우러져 맛있는 티벳의 전통음식이다.

중국 후난(湖南, 호남) 요리 - 허샤젠단(河虾煎蛋, 하하전단)

중국 후난(湖南, 호남) 요리 중 허샤젠단(河虾煎蛋, 하하전단)이라는 계란 후라이 요리가 있다. 내륙 지방인 후난지역의 요리이기 때문에 민물새우를 이용하여 만든 계란 후라이이다. 조리법은 계란에 잘 씻고 손질한 새우를 넣고 볶으면 된다고 한다. 민물새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새우의 향과 맛이 굉장히 강하게 느껴지는 계란 후라이이다.

중국 후난(湖南, 호남) 요리 - 펑황슈바야(凤凰血粑鸭, 봉황혈파압)

중국 후난(湖南, 호남)의 펑황(凤凰, 봉황)지역에 놀러갔을 때, 지역특산요리 중 하나인 펑황슈바야(凤凰血粑鸭, 봉황혈파압)를 먹어보았다. 펑황슈바야는 한국의 찹살순대와 비슷한 음식인데, 순대에 돼지피를 사용하는 것과는 다르게 오리피를 사용한다. 찹쌀에 오리피를 섞어서 찐 후 네모나게 잘라서 다시 기름에 살짝 튀기면 된다고 한다. 펑황슈바야를 주문하면 이 오리피 찹쌀순대와 같이 오리고기가 나온다. 약간 짭짜름하고 후난음식답게 매콤하기도 한데, 찹쌀 순대와 닭도리탕을 같이 먹는 느낌이다.

중국 사천(四川, 쓰촨) 요리 - 후이구오로우(回锅肉, 회과육)

후이구오로우(回锅肉, 회과육)는 중국 쓰촨 10대 요리 중 하나이며, 쓰촨의 전통 가정식 요리 중 하나이다. 음식의 이름인 후이구오로우(回锅肉)는 '다시 요리한 고기'라는 뜻으로 돼지고기를 우선 삶은 후, 다시 기름에 볶아서 만드는 음식법을 뜻한다. 이 음식이 청나라 때 개발되었다는 설도 있고, 훨씬 전인 북송시대에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으나 실제로 언제 처음 발명되었는지는 명확하지 않다고 한다. 삼겹살과 피망, 양파, 고추와 후추로 맛을 내어, 삼겹살의 달콤함과 각 야채들의 아삭거리는 맛이 더해져 식감이 매우 좋고, 쓰촨음식답게 고추와 후추가 음식에 풍미를 더한다. 돼지고기를 한번 삶아서 그런지 기름에 볶았어도 삽겸살이 기름지지 않다. 쓰촨에서는 매우 흔한 음식이기에, 쓰촨음식점에 가면 쉽게 찾을 수 있..

중국 서북(西北, 시베이) 음식 - 몽고우대골(蒙古牛大骨, 멍구뉘다구)

몇달전이었는지 아파트 엘리베이터 광고판에 굉장히 먹음직스러운 갈비음식 사진이 있었다. 시베이요우미엔춘(西贝莜面村)이라는 프렌차이즈 레스토랑의 광고인데, 중국의 시베이(西北, 서북) 지방 음식을 파는 레스토랑이다. 중국어로 시베이(西北)와 발음이 비슷한 시베이(西贝)로 이름을 만들어 서북지방 음식이라는 것을 알리고 있으며, 중국에서 소고기의 품질이 가장 좋다고 알려진 몽고(蒙古)의 소고기를 사용한다고 한다. 이번에 시켜먹어 본 것은 멍구뉘다구(蒙古牛大骨, 몽골우대골)이라는 한국의 갈비찜을 연상케하는 음식인데, 소고기가 굉장히 연하고 푸짐하다. 한국보다 소고기나 돼지고기가 매우 저렴한 중국이다보니 한그릇에 120위안 (2만3천원정도)이다. 맛은 한국의 갈비찜이 더 맛있기는 하지만, 고기가 부드럽기는 멍구뉘다..

중국 광동(广东) 요리 - 우남허분(牛腩河粉, 뉘난허펀)

중국 광동(广东) 음식 중 뉘난허펀(牛腩河粉, 우남허분)이라는 쌀국수를 먹어 보았다. 허펀(河粉)은 중국 광동 일대에서 먹는 쌀로 만든 넓은 면을 뜻한다. 뉘난허펀이라는 이름은 삶은 소고기 쌀국수라는 뜻으로, 소고기 부위 중 질긴 양지머리를 데치고 끓여서 부드럽게 만든 후 무와 야채와 함께 부드럽게 삶은 소고기와 쌀국수를 삶아서 만든 맑은 쌀국수이다. 한국의 국수와는 매우 다른 맛인데, 맑은 국물과 쌀국수, 그리고 부드러운 소고기는 간단히 한끼 떼우기에 매우 좋은 듯 하다.

중국 상하이(上海, 상해) 음식 - 상하이훈툰탕(上海馄饨汤, 상해혼돈탕)

한국의 만두국이 있듯이 중국에는 훈툰이 있다. 그 중 상하이훈툰탕(上海馄饨汤, 상해혼돈탕)은 한국의 만두국과 가장 유사한 맛을 내는 중국의 만두국이 아닌가 싶다. 만두 속이 비칠정도로 얇은 만두피로 돼지고기와 야채 및 새우를 섞어서 만든 만두속을 쌓은 후, 짭짜름하게 간을 낸 국물에 파와 미역 및 김으로 마지막 맛을 내는 상하이훈툰탕은 중국 음식인지 모르고 먹으면 한국에서 먹던 그런 만두국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