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아시아 여행 이야기 252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 - 무선호(抚仙湖公园, 푸시엔후) 명성어동(明星鱼洞, 밍싱위동)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에 있는 맑은 호수인 무선호(抚仙湖公园, 푸시엔후)에서 마지막으로 가 본 곳은 명성어동(明星鱼洞, 밍싱위동)이라고 불리는 곳이다. 기다란 서있는 밥주걱 모양인 푸시엔후의 중앙 서쪽에 위치한 이 곳은 이 지역의 특이한 전통 낚시 방법의 흔적을 볼 수 있는 곳이며, 이 호수의 다른 지역과는 다르게 백사장이 있는 호변이다. 이 밍싱위동의 밍싱(明星)은 중국어로 '별'을 뜻하는데, 원래 이 곳의 이름은 밍싱(明星, 명성)이 아닌 밍싱(明兴, 명흥)이었다고 한다. 이곳은 이미 명나라 때에도 꽤 많은 사람들이 살고 있어서 명나라가 흥하기를 바란다는 뜻으로 밍싱(明兴)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다가, 이 곳의 풍경이 별처럼 빛나고 깨끗하고 아름다워 나중에는 별을 뜻하는 ..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 - 무선호(抚仙湖公园, 푸시엔후) 하파습지공원(下坝湿地公园, 샤바스띠공위엔)

중국의 서남쪽에 위치한 윈난성(云南省, 운남성) 푸시엔후(抚仙湖, 무선호)의 최남쪽에는 샤바춘(下坝村)이라는 작은 촌락이 있다. 이 마을 바로 옆에는 샤바스띠공위엔(下坝湿地公园, 하파습지공원) 습지공원이 있다. 이 습지공원으로 들어가는 입구는 눈에 띄지 않아서 주의 깊게 보지 않으면 쉽게 지나칠 수 있는 그런 공원이다. 하지만 이 푸시엔 호수변을 천천히 운전하면서 최대한 많이 구경하려고 했던 우리는 운이 좋게 이 곳을 찾아서 방문할 수 있었다. 도로에서 볼 때는 무슨 공터인가 싶었는데, 공원에 들어가보니 주차장도 있고 그래도 나름대로 공원의 모양새를 갖추었다. 주차장에서 5분정도 걸어가면 바로 호수가가 나온다. 습지공원이라고 되어 있지만, 습지공원의 분위기는 아니었다. 호수의 동쪽과 남쪽에는 오래간만에 ..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 - 무선호공원 (抚仙湖公园, 푸시엔후공위엔) 선호만경구(仙湖湾景区, 시엔후완징취)

1992년 중국의 다이버들이 이 푸시엔후(抚仙湖, 무선호)에 들어가서 호수를 조사하던 중, 고대 도시로 보이는 건축물을 발견했다. 이후 2005년에 추가로 조사된 결과에 따르면 호수 바닥에 있는 수중도시는 2.4제곱킬로미터의 크기를 지녔으며 5층짜리 건물과 석조 피라미드도 발견되었다고 한다. 탄소 반감기 조사에 따르면 이 수중도시는 1750년전에 지어진 것으로 보이는데, 이는 중국의 역사에서 두번째 통일왕조이자 가장 강력했던 국가 중 하나였던 한나라 시대이다. 중국 인구의 92%를 차지하는 한족이라는 이름은 중국의 통일왕조였던 이 한(汉 또는 漢)나라에서 유래되었는데, 한나라는 전한(서한)과 후한(동한) 시대로 구분된다. 이 중 서한시대 당시에 윈난성의 후시엔후로 추정되는 근방에 도시가 있다는 기록이 있..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 - 무선호(抚仙湖, 푸시엔후) 홍사탄(红沙滩, 홍샤탄)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의 옥계시(玉溪市, 위시스)에 있는 무선호(抚仙湖, 푸시엔후)의 북서쪽에 홍사탄(红沙滩, 홍샤탄)이라는 곳이 있어서 가보았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거의 찾을 수가 없고 사진만 몇장 발견하였는데, 지도에는 관광지 중 하나로 표시되어 있어서 가보았다. 광용무해만습지공원(广龙抚海湾湿地公园, 광롱푸하이완스띠공위엔)에서 멀지 않고, 사실 호변 둘레길을 따라 걸어서도 올 수 있는 곳이긴 하지만 차를 가지고 지나가다 즉흥적으로 오게 된 곳이라 차로 오게 되었다.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 - 무선호(抚仙湖, 푸시엔후) 광용무해만습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에 있는 무선호(抚仙湖, 푸시엔후)는 AAAA급 관광지로 쿤밍(昆明, 곤명)에서..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 - 무선호(抚仙湖, 푸시엔후) 광용무해만습지공원(广龙抚海湾湿地公园, 광롱푸하이완스띠공위엔)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에 있는 무선호(抚仙湖, 푸시엔후)는 AAAA급 관광지로 쿤밍(昆明, 곤명)에서 65km정도 남쪽에 떨어져 있어 쿤밍 사람들이나 쿤밍에 관광을 온 사람들이 하루, 이틀정도 놀러왔다가 가는 곳이라고 한다. 이제 이곳을 본격적으로 돌아보기로 시작하였다. 우선 푸시엔후의 북쪽에 있는 광용무해만습지공원(广龙抚海湾湿地公园, 광롱푸하이완스띠공위엔)에 가보았다. 딱히 이곳을 찍고 간 것은 아니었고, 호수를 빙 돌면서 괜찮아 보이는 곳에 가보자 하면서 운전하다가 눈에 띄어서 들어가게 된 것이다. 춘절의 푸시엔호는 사람들이 거의 없어서 어느 곳이든 다 텅텅 비어 있어서 풍경을 조용히 즐기기에 최적의 상황이었다. 주차장에 차를 세워두고 광롱푸하이완스 공원으로 들어가는 ..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옥계시(玉溪市, 위시스) - 무선호(抚仙湖, 푸시엔후) 태양산망홍소진(太阳山网红小镇, 타이양샨왕홍샤오전)

중국의 서남쪽에 위치하면서 중국에서 관광지로 가장 유명한 윈난성(云南省, 운남성)에는 유명한 호수가 많은데, 그 중 위시(玉溪, 옥계)에 위치한 푸시엔후(抚仙湖, 무선호)는 윈난에서 가장 세번째로 큰 호수이다. 또한 그 깊이가 155미터에 달하는 이 호수는 중국에서도 3번째로 깊기도 한다. 그 첫번째가 백두산(중국에서는 장백산)의 천지(373미터)이며 두번째가 신장(新疆, 신강)에 있는 카나스호(188미터)라고 한다. 이 크고 깊은 푸시엔후는 윈난성의 성도인 쿤밍(昆明, 곤명)에서 남쪽으로 35km정도 떨어진 곳에 있다. 중국 신장 웨이우얼 쯔즈취(新疆维吾尔自治区, 신강위구르자치구) 신강카나스국가지질공원 (新 불편했던 호텔에서 밤을 보낸 후 아침 일찍 일어나 짐을 싸서 근처의 다른 숙소로 옮겼다. 당연히..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곡정(曲靖, 취징) - 라평(罗平, 루오핑)의 도시 풍경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의 동쪽에 위치한 취징(曲靖, 곡정)시에서도 또 가장 동쪽에 위치하여 구이저우(贵州, 귀주)와 인접한 루오핑(罗平, 라평)은 카르스트 지형의 특이한 산세에 넓게 펼쳐져 있는 노란 유채꽃 밭으로 유명하다. 인구가 600만명이 넘는 취징 시에서도 인구가 적은 편에 속하는 이 루오핑현은 인구가 50만명정도이다. 유채꽃 밭을 보러 와서 유채꽃 밭은 구경하였는데, 이후 딱히 할게 없었다. 유채꽃 밭이 몇군데 있지만, 두어군데 가보니 다들 비슷비슷해서 다시 호텔로 돌아와 조금 쉬면서 남은 시간동안 무엇을 할지 고민하기로 하였다. 루오핑의 지리를 전혀 모르지만 대충 보았을 때, 우리가 머물던 숙소가 루오핑현의 중심가에 있는 것 같았다. 하지만 아무리 중심가라고 해도 현급 도시에 이렇게 많..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곡정(曲靖, 취징) - 라평(罗平, 루오핑) 금계봉총(金鸡峰丛, 진지펑총)

중국 서남지역에 위치한 운남성(云南省, 윈난성)은 중국에서 자연경관 관광지로 가장 유명한 성이다. 유라시아판과 인도판이 충돌하면서 만들어진 히말라야 산맥의 끝자락이 닿는 곳이기도 하며, 지대가 높아 빙하가 녹아서 만들어진 파란 호수가 만들어내는 풍경 그리고 중국 남부와 인도차이나 반도를 형성하는 카르스트 지형이 있는 곳이기에 다양한 자연 경관을 자랑하는 곳이다. 중국에서는 8번째로 크기가 큰 성인데, 대한민국보다 4배 가까이 크고 인구는 약간 적어 5천만명이 되지 않는다. 운남성은 예전에 리장(丽江, 리강) 여행 시 가보았던 옥룡설산 (玉龙雪山, 위롱슈에샨)의 인상이 너무 강해서 다음에 다시 여행해 보고 싶었는데, 이번 춘절기간에 운전을 해서 여행하게 된 것이다. 중국 운남성(云南省, 윈난성) 리장(丽江..

중국 광서성(广西省, 광시성) 옥림(玉林, 위린) - 옥림시 인민공원(玉林市人民公园, 위린스 른민공위엔)과 대용산(大容山, 다롱샨)

이번 2022년 중국의 춘절기간 동안 운남성(云南省, 윈난성)을 자동차로 여행하였다. 동관에서 운남성을 육로로 가기 위해서는 그 사이 광서성(广西省, 광시성)을 거쳐 1,400km가 넘는 거리를 가야한다. 한번에 가기에는 아무래도 매우 부담되는 거리이기 때문에, 광시 지방 중 위린(玉林, 옥림)이라는 곳을 중간거점으로 잡고 하루를 묶으며 주변을 본 뒤 다시 출발하기로 하였다. 위린이라는 도시는 광시에 있는 14개의 지급시 중 성도인 난닝(南宁, 남녕) 다음으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난닝의 인구가 870만명이며 위린은 580만명 정도이다. 지급시는 우리나라의 시와 비슷한 개념이다. 가기 전에도 몰랐고 도착한 다음에도 몰랐던 것이지만, 특이한 것은 이 위린시는 절기상 하지 때 개고기와 리치를 먹는 페스티벌..

중국 후난성(湖南省, 호남성) 장자지에(张家界, 장가계) - 황쓰자이(黃石寨, 황석채)

우리가 흔히 말하는 장가계국립공원은 사실은 무릉원(武陵源, 우량위엔)이라는 관광지와 서로 반대로 얘기하는 것이다. 즉, 무릉원은 '장가계국립삼림공원(张家界国家森林公园)와 장가계국가지질공원(张家界国家地质公园)', '삭계곡(索溪峪)', '천자산(天子山)', '양가계세계자연보호구(杨家界三个自然保护区)' 등이 있다. 이 중 원가계(袁家界)는 장가계국립삼림공원에 속하여 있고, 삭계곡에는 황룡동굴등이 있다. 장가계를 구경했던 사람이라면 한번쯤은 들어봤을 말인 '황석채를 오르지 않으면 장가계를 본 것이 아니다(不上黄石寨,枉到张家界)'라는 말로 표현되는 황석채(黄石寨, 황쓰자이)는 원가계처럼 장가계국립삼림공원에 속한 곳이다. 한국에서는 황석채라고만 알려져 있지만, 중국에서는 황석채 외에도 황사채(黄狮寨, 황쓰자이)라고..

중국 후난성(湖南省, 호남성) 장자지에(张家界, 장가계) - 위엔자지에(袁家界, 원가계)

스스로를 태자라 칭하며 반란을 일으킨 향대곤(向大坤, 샹다쿤)이 머물렀다하여 불리게 된 태자산(天子山, 티엔즈샨)이나, 이 반란을 진압하려 왔던 양업(楊業, 양예) 장군의 가족들이 아예 눌러앉아 마을이 만들어졌다하여 이름 붙혀진 양가계(杨家界, 양자지에)와는 다르게 원가계(袁家界, 위엔자지에)는 그 이름의 기원이 명확하지는 않은 듯 하다. 예전에 당나라 말기 때 황소(黄巢, 황차오)가 일으킨 농민봉기가 실패한 이후, 당나라 조정은 이때 민란에 가담했던 사람들을 모두 숙청하기 위해 명단을 작성하였다고 한다. 이 민란의 수령이었던 황소를 따르던 원(袁, 위엔)이라는 이름의 병사가 있었는데, 그는 당국에 체포되어 처형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 태자산의 옛 이름이었던 청암산(青岩山, 칭위엔샨)에 집을 짓고 사람들의..

중국 후난성(湖南省, 호남성) 장자지에(张家界, 장가계) - 양자지에(杨家界, 양가계)

중국 호남성(湖南省, 후난성)의 자랑인 장가계(张家界, 장자지에)에는 가장 유명한 5군데가 있다. 천문산(天门山, 티엔먼샨)과 천자산(天子山, 티엔즈샨) 그리고 양가계(杨家界, 양지자지에)와 원가계(袁家界, 위엔지자지에), 마지막으로 황석채(黄石寨, 황쓰자이)가 그것인데 그 중 천문산은 장가계 도시에서 남쪽에 있는 반면, 나머지는 장가계공원안에 있다. 이 장가계국가삼림공원(张家界国家森林公园)에 있는 여러 입구 중, 동쪽 입구는 천자산으로 가는 가장 빠른 길이며 천자산을 보고 나면 양가계로 이동할 수 있다. 천자산을 구경 후 천자산을 따라 쭉 내려가면 레일바이크등을 탈 수 있는 곳이 나오고, 내려가지 않고 근처에서 셔틀 버스를 타면 양가계로 바로 이동할 수도 있다. 장가계공원 안에는 셔틀버스가 계속 돌아다..

중국 후난성(湖南省, 호남성) 장자지에(张家界, 장가계) - 티엔즈샨(天子山, 천자산)

천문산(天门山)은 장가계(张家界,장자지에)에서 남쪽으로 8km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반면, 우리가 장가계라고 부르는 장가계국가삼림공원(张家界国家森林公园)은 장가계에서 북쪽으로 25km정도 떨어져 있다. 이 장가계국가삼림공원은 거대해서 하루만에 볼 수는 없고 적어도 3일정도는 봐야 어느정도 볼 수 있기 때문에 입장권을 구매하면 3일인가 4일동안 입장할 수가 있다. 이 거대한 장가계 공원 중 가장 먼저 가봤던 곳은 천자산(天子山, 티엔즈샨)이라는 곳이다. 장가계 공원은 입장할 수 있는 곳이 4군데 정도가 있는데 그 중 우리는 동쪽 입구에 있는 호텔을 잡아놨기에 항상 동쪽으로 입장하였다. 동쪽으로 입장하면 한참을 버스를 탄 후 케이블카를 타고 바로 천자산으로 갈 수가 있는데, 개인적으로 이 장가계에서 케이블카..

중국 후난성(湖南省, 호남성) 장자지에(张家界, 장가계) - 티엔먼샨(天门山, 천문산)

중국에서 회사를 다니다가 한국으로 돌아가시는 분들이, 한국에 가기 전에 중국에서 여행을 좀 하다 가려고 추천을 해달라고 하면 후난성(湖南省, 호남성)에 있는 그 유명한 장자지에(张家界, 장가계)는 빠지지 않고 들어간다. 워낙 영토가 넓은 국가이고 여러 민족과 다양한 기후, 지형들이 있어 가볼 곳이 많은 나라이긴 하지만, 윈난(云南, 운남)의 리장(丽江, 여강), 광시(广西, 광서)의 구이린(桂林, 계림)만큼이나 그 인상이 굉장히 강렬한 곳이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장가계는 워낙 유명해서 코로나 시기 전에는 한국에서도 직행이 있을 만큼 가기가 용이했다. 이런 장가계에 갔던 것은 수년 전이긴 하지만, 종종 생각나는 곳이라 다시 한번 둘러보면 좋을 듯 하다. 장가계로 가는 몇가지 경로가 있는데, 가장 손쉬운 ..

중국 광동성(广东省) 동관(东莞) - 관음산국가삼림공원(观音山国家森林公园, 관인샨궈지아선린공위엔)

중국 광동성(广东省) 동관(东莞)의 동남쪽, 동관과 심천(深圳, 선전) 그리고 혜주(惠州, 후이저우)의 경계지점에 관음산(观音山, 관인샨)이라는 나름 유명한 산이 있다. 광동성에 살다보면 언젠간 한번은 산 위에 거대한 관음보살 석상이 있는 모습을 보게 될 수 있는데, 이것이 관음산이다. 원래 이름이 관음산이었는데, 그곳에 관음보살 석상을 만든 것인지 아니면 다른 이름이거나 이름 없는 뒷산이었는데 관음보살 석상을 만들어 관음산이라고 불리게 되었는지는 모르겠다. 아마 원래 무슨 이유에서건 관음산이 아니었나 싶다. 이 관음산은 행정구역상으로 장무토우젼(樟木头镇, 장목두진)이라는 곳에 있는데, 이 장무토우는 거주 인구가 2만명정도 밖에 안되는 작은 진이다. 한때 홍콩에서 은퇴한 사람들이 이곳으로 많이 넘어와 살..